













every little step
사진작가 박정훈의 사진집 'every little step'
작업 노트
세상의 속도보다 몇 발자국 뒤쳐진 곳에서 나는 걷고 싶었다. 넓게 뻗은 길이 아닌 오솔길을 소요하듯 걷고 싶었다. 남들의 눈엔 잘 보이지도 않을 작은 길이라도 내 발로 내고 싶었다. 그리고 그 바람을 이루기 위해 가을의 문턱을 지난 어느 하늘 깊은 날, 근 십 년의 추억과 이삿짐을 1톤 트럭에 함께 싣고 등지듯 홍대를 떠나 이곳으로 왔다.
이사를 온 후부터 카메라를 들고 낙산 구석구석을 다니기 시작했다. 셔터를 참 많이도 눌렀다. 하지만 그만큼 많이도 버렸다. 이 동네를 별세계로 바라보는 외부자의 시선이 스스로 못마땅했던 것이다. 그리고 특정한 공간이 아닌, 귀 기울여야만 가까스로 들려오는, 메아리처럼 은은하게 퍼지는 나를 둘러싼 자그마한 이야기들을, 그리고 그 이야기들을 품고 있는 시간들을 바라보았다. 그제서야 이미지들이 내게 조금씩 다가오기 시작했다.
그렇게 일 년이 다 되어간다. 사진기를 내려놓아야 촬영이 이루어지는 역설이 어떻게 이미지에 숨겨지고 드러나는지 다 알 수 없어 두려운 마음 앞서지만, 감사하다. 내가, 그리고 나와 함께 호흡해 준 이들과 더불어 쌓은 시간의 흔적이 이미지가 되어 누군가의 망막에 맺히고 마음에 새겨진다는 사실에.
단지 일 년이 지났을 뿐이다. 이음새 없는 세월의 흐름이 다가올 나날들을 무심히 엮어줄 것이다. 그리고 나는 여전히 여기에서, 어쩌면 저기에서 그저 흘러가는 시간들의 잔상을 지속시키기 위해 허허로이 내 작은 발걸음을 옮길 것이다.
점점 넓어져만 가는 것과는 반대로 한가로이 걸을만한 곳도 눈을 둘만한 곳도 차차 사라져 가는 홍대라는 애매한 이름의 지역에 정이 거두워질 즈음 내 마음을 이끈 곳은 낙산 성곽길 아래 제비 둥지처럼 가부좌 튼 장수마을이라 불리는 한 작은 마을이었다. 이곳엔 생각 없이 다닐 수 있는 길이, 멍한 시선을 담아줄 허공이, 뜻 없이 내뱉는 한숨에 귀 기울이는 평상이 있었다. 어딘가에서 잃어버린 미래라고, 혹은 노스탤지어라고 부르는 것들이 일상의 겹을 두르고 세상사와 무관한 듯 낮잠을 즐기고 있었다.
작가 약력
1976년 의정부 출생
2002년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개인전
2015 확장되는 경계-서울의 백과사전적 이미지 Part 1. 길, 서교실험예술센터, 서울
2015 every little step, 장수마을 마을박물관, 서울
2014 시절들, 아트씨컴퍼니, 서울
2014 먼 산, 성북예술창작센터, 서울
2013 먼 산, 단원미술관, 안산
2011 먼 산,신한갤러리, 서울
2009 오래된 습관, 대안공간 건희, 서울
2007 검은 빛, 갤러리 보다, 서울
단체전
2010 일민시각문화-격물치지 전, 일민미술관,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