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정인채

종교의 다양성, 인도의 종교 엿보기


종교의 다양성


인도에는 힌두교, 이슬람교를 비롯해 기독교, 시크교, 불교, 자이나교, 조로아스터교 등 다양한 종교가 있다. 힌두교도가 전체 인구의 78%로 절대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무슬림이 15%, 기독교가 2.5%, 시크교도가 1.9%, 불교도가 0.8%, 자이나교도가 0.4%로 뒤를 잇는다. 대부분의 인도인들이 힌두교를 믿을 뿐 아니라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도의 종교, 사회적 풍습들도 대부분 힌두교의 전통이라 인도는 힌두교의 나라라고 볼 수 있지만, 인도의 인구는 12억 명으로 힌두교를 제외한 종교의 신자도 상당한 숫자에 해당한다.


이하 우리에게 잘 알려진 불교와 기독교를 제외한 종교들에 대해 소개해 본다.


1.힌두교(힌두이즘)


인도의 다수교다. 기원은 수천 년 전으로 여겨지나, 정확한 연도는 알려진 바가 없다. 전세계 9억명 가까운 신자를 가지고 있으며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에 영향을 미쳤다. 원래 힌두이즘(Hinduism)에서 힌두(Hindu)의 어원은 인더스 강 유역을 의미하는 산스끄리뜨어인 신두(Sindhu)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재 인도 사람의 80%가 자신이 힌두라고 여기지만, 원래 힌두이즘이란 용어는 현대에 이르러 붙여진 영어식 명칭으로 힌두교도들은 자신의 종교를 ‘영원한 법칙’을 뜻하는 사나타나 다르마(Sanatana Darma)라고 불렀다. 브라만교와 토착 신앙이 융합된 종교로 다른 종교들과는 달리 특정 창시자와 유일 경전이 전해는 것이 아니라 베다, 우파니샤드 등 계시서와 경전에 준하는 대서사시인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등 2차 전승서로 전해지고 있다. 인도 사람들의 종교와 사회적 이념의 원천으로 인도의 모든 종교를 포괄한 인도 문화의 총체로 여겨진다.


2.이슬람교(인도-무슬림만)

힌두교의 나라 인도의 제 2 종교는 이슬람교다. 인도의 소수 종교 중 가장 큰 집단을 이루고 있는데 인도의 이슬람교도는 인도에서 정착한 무슬림이라기 보다는 인도 본토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인도-무슬림이라고 볼 수 있다. 인도에서 이슬람의 역사는 12세기 꾸뚜브딘 아이바크(노예 왕조)가 델리를 장악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수피즘을 중심으로 이슬람교가 인도에 전파되었는데 인도-무슬림은 외부로부터 무슬림 유입, 인도 원주민들의 개종, 자연스런 증가의 세 단계에 걸쳐 증가했다. 12세기 30~40만 명에 불과했던 신도수는 17세기 1500만 명으로 급격히 증가했고, 1941년에는 전 인구의 23%인 9000만 명에 달했다. 그러나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 독립으로 무슬림 인구가 많았던 곳이 파키스탄으로 분리되고 인도 내 800만 명의 무슬림이 이주한 것을 기점으로 인도의 무슬림들은 사회의 소수로 밀려나게 되었다. 인도-무슬림들은 힌두교 극우 세력의 압박 속에 끊임없이 충돌하고 갈등하며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후진적이고 열악한 환경에 있다. 근본적인 종교적 차이가 있지만, 이들도 외견상 힌두교와 유사한 풍습(카스트, 내혼제 등)에 따르고 있다. 인도-무슬림 인구는 카슈미르, 우타르프라데시, 아삼, 깨랄라 등 11개 주에 걸쳐 집중되어 있는데, 이들의 커뮤니티는 잦은 충돌로 힌두교와 분리되어 게토화되어 있는 현실이다.

3.시크교

시크교는 15세기 펀잡 지방에서 구루 나낙에 의해 창시된 종교로 구루 나낙은 하층 계급 출신으로 브라만 중심의 카스트 제도와 기존 질서에 반하여 생겼고, 우상 숭배를 거부했으며 유일신을 믿으며 10대 구루들에게 집중된 신앙을 특징으로 한다. 힌두교와 불교처럼 업과 환생을 믿지만, 윤회의 고리를 끊는 금욕과 수행의 전통은 없고, 술과 담배 그리고 약물의 복용을 멀리하는 신조를 지녔다. 대대로 기골이 장대하여 군인으로 활약해왔다. 시크교에 헌신한다는 의미에서 이들의 공동체는 다섯 가지 상징물을 가지는데, 손대지 않은 머리와 깎지 않는 수염(케쉬), 이를 관리하는 빗(캉가), 단정함을 상징하는 속옷(카차), 힘과 위엄을 상징하는 칼(키르판), 용감함을 상징하는 쇠팔찌(카라)가 그것이다. 터번을 쓰는 것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이들은 사자(獅子)를 의미하는 ‘싱(Singh)’이라는 이름을 많이 쓴다.

4.자이나교

기원전 6세기 마하비라에 의해 창시된 자이나교는 불교, 시크교 등과 마찬가지로 기존 힌두교의 질서에 반발하여 생겨난 종교다. 자이나교는 카스트의 신분과 계층을 초월하여 업을 소멸시키고 영혼의 정화를 이룬다면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도덕적 생활과 단식, 명상 등 엄격하고 금욕적인 수행 및 비폭력 등이 강조된다.

5.조로아스터교

조로아스터에 의해 창시된 이 종교(마즈다교, 배화교라고도 함)는 기원전 1800년 또는 640년 등 그 형성 시기가 분명하지 않다. 중동에서 창시되어 페르시아의 영향으로 전파되었는데 선과 악이 끊임없이 대립한다는 이원론적인 개념을 가졌다. 7세기경 이슬람교가 등장하면서 쇠퇴하였고, 인도에는 그들의 후손으로 이슬람의 박해를 받은 파시교도에 의해 10세기에 전파된 것으로 알려진다.

#인도 #종교 #다양성 #힌두교 #이슬람교 #자이나교 #시크교 #조로아스터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