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정인채

<바드리나스의 신부>, 변화하는 히로인


*영화 <바드리나스의 신부>


바드리나스(바룬 다완 분)의 아버지는 보수적이다. 부유한 그는 아들의 신부 감이 재원이되 직업 없이 가정에 충실하길 원한다. 하지만 아들이 직면한 운명적 사랑은 다르다. 바드리나스는 어느날 결혼식장에서 바이데히(알이야 바트 분)를 만나 한 눈에 반한다. 좀 독특해서 더 매력적인 여성, 하지만 그의 적극적인 노력에도 청혼은 거절당한다. 그녀에겐 결혼보다 자신의 꿈과 인생이 소중하다. 바이데히에게 거절 당한 바드리나스는 그녀와 친구가 된다. 서로를 알아나가는 사이 둘 사이엔 사랑의 감정이 싹트지만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진 둘은 사랑의 험로를 걷는다.


세계 영화팬이 <미녀와 야수>에 주목하는 사이, 인도는 발리우드 식 ‘미녀와 야수’로 응수했다. 지난 3월, 인도의 홀리 축제 시즌에 맞춰 개봉한 <바드리나스의 신부(Badrinath Ki Dulhania)>가 그 주인공이다. 이 영화는 2014년 개봉한 바 있는 <험프티 샤르마의 신부>의 속편으로 가부장적인 환경에서 자란 바드리나스가 자신의 신부를 찾아가는 이야기다. 전편과 동일하게 젊은 투탑 바룬 다완과 알리야 바트(2012년 데뷔)를 내세운 로맨틱 코미디 물이다. 알콩달콩 유쾌한 내용부터 갈등을 거쳐 화해에 이르는 전형적인 발리우드 로코라고 볼 수 있으나, 곳곳에 고스란히 묻어나는 인도의 새로운 사회상에 주목하면 더욱 흥미롭다.

인도 사람들은 어머니를 사랑하지만, 여자는 혐오한다는 표현이 있다. 여신을 믿고 여성 정치가도 배출해온 반면, 뿌리 깊은 편견이 존재한다. 인도에 미녀가 많다면, 인도 사회의 폐습은 부정적 의미의 ‘야수’라고 할 수 있다. 변화는 있지만 여전히 과거와 현재의 가치관이 충돌하는 과도기에 머물러 있고, 조건이 좋은 혼담이 오간다면 거부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바드리나스의 신부 될 사람’은 순응하지 않는다. 할 말을 하고, 원하는 것을 택한다. 어쩌면 벨 보다 바이데히의 모습이 인도의 현실에 와 닿는데 영화의 히로인으로도 자못 신선하다. 과거 로코라면 사룩 칸의 <용감한 자가 신부를 얻는다>처럼 남성이 적극적으로 사랑을 쟁취해왔다. 배우의 영향력도 남성 위주로 따졌고, 여배우는 수동적인 역할이었다. 특히 로코에선 그런 경향이 강했는데, 최근 목격되는 히로인의 변신은 변화하는 인도에 있어 하나의 화두라고 할 만하다.


#인도영화 #발리우드 #바드리나스의신부 #인도로코 #변화하는인도 #바룬다완 #알리야바트

bottom of page